코딩테스트/백준
파이썬 | 16948 . 데스 나이트 _S1
sunNprize
2022. 6. 25. 23:03
[Silver I] 데스 나이트 - 16948
성능 요약
메모리: 32452 KB, 시간: 108 ms
분류
너비 우선 탐색(bfs), 그래프 이론(graphs), 그래프 탐색(graph_traversal)
문제 설명
게임을 좋아하는 큐브러버는 체스에서 사용할 새로운 말 "데스 나이트"를 만들었다. 데스 나이트가 있는 곳이 (r, c)라면, (r-2, c-1), (r-2, c+1), (r, c-2), (r, c+2), (r+2, c-1), (r+2, c+1)로 이동할 수 있다.
크기가 N×N인 체스판과 두 칸 (r1, c1), (r2, c2)가 주어진다. 데스 나이트가 (r1, c1)에서 (r2, c2)로 이동하는 최소 이동 횟수를 구해보자. 체스판의 행과 열은 0번부터 시작한다.
데스 나이트는 체스판 밖으로 벗어날 수 없다.
입력
첫째 줄에 체스판의 크기 N(5 ≤ N ≤ 2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r1, c1, r2, c2가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데스 나이트가 (r1, c1)에서 (r2, c2)로 이동하는 최소 이동 횟수를 출력한다.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# 체크판의 크기 n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x, dy = [-2, -2, 0, 0, 2, 2], [-1, 1, -2, 2, -1, 1]
n = int(input())
# 데스 나이트가 (r1, c1)에서 (r2, c2)로 이동
r1, c1, r2, c2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[0] * n for _ in range(n)]
def bfs():
visitied = [[0] * n for _ in range(n)]
visitied[r1][c1] = 1
q = deque()
q.append((r1, c1))
while q:
x, y = q.popleft()
for i in range(6):
nx, ny = x + dx[i], y + dy[i]
if 0 <= nx < n and 0 <= ny < n and not visitied[nx][ny]:
visitied[nx][ny] = visitied[x][y] + 1
q.append((nx, ny))
if nx == r2 and ny == c2:
return visitied[nx][ny] - 1
return -1
print(bfs())